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많이 벌고 많이 쓴다! 돈을 펑펑 쓰면서도 고소득을 올리는 직업들

by holicfree 2025. 3. 11.

구멍 난 티셔츠에 숏츠를 입고 연장가방을 들고 집으로 들어오는 배관공, 시간당 약 60~80달러를 벌어들입니다. 공휴일에는 1.5배를 벌어들입니다. 몇 개의 나사, 부속품과 오랫동안 쓰던 연장이 그가 일할 때 사용하는 전부입니다. 멋진 슈트나 명품시계, 비싼 차를 타고 다니지 않지만 의사와 수입이 비슷합니다. 그러면 이 두 직업군의 지출은 어떨까요?

 

일부 직업군은 높은 수입을 자랑하지만, 동시에 생활비나 업무 관련 지출도 많아서  많이 벌어도 많이 쓰는 직업으로 분류됩니다. 특히, 명품을 입고 비싼 차를 타며 럭셔리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는 직업들이 대표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소득이지만 소비 수준도 높은 직업들, 그들의 소비 패턴, 그리고 경제적으로 안정되기 위한 관리법도 살펴보겠습니다.

 

고소득 직업, 저축, 투자, 포트폴리오, 재테크

1. 돈을 많이 벌지만 소비도 큰 대표적인 직업들

"돈을 많이 번다고 해서 반드시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돈을 많이 벌지만 많이 쓰는 직업들의 공통점

 

- 업무 특성상 외모·이미지 관리가 필수 (예: 연예인, 인플루언서)

- 업무 관련 비용이 높음 (예: 사업가, 패션 디자이너)

- 고급 네트워크 및 접대가 필요 (예: 금융업, 영업직)

- 사회적 지위와 라이프스타일 유지 필요 (예: 변호사, 성형외과 의사)

 

연구 사례:

미국 소비자 심리학 연구소(CPRI)의 보고서에 따르면, 고소득 직업군 중 60% 이상이 생활비 지출이 높아 평균 저축률이 1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돈을 많이 벌지만 소비도 큰 대표적인 직업들

 

1) 연예인 & 인플루언서

드라마, 영화, 광고 출연료 등으로 억대 연봉을 버는 직업이지만, 브랜드 이미지 유지와 스타일링을 위해 명품 의류, 헤어·메이크업, 차량 유지비 등에 큰 비용을 씁니다. SNS에 보이는 화려한 라이프스타일이 브랜드 가치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소비가 필수적입니다. 유명 연예인의 경우, 한 번의 레드카펫 행사에서 헤어·메이크업, 의상, 스타일리스트 비용으로 수천만 원을 지출하기도 합니다.

 

2) 금융업 종사자 (펀드매니저, 투자은행(IB) 애널리스트, 헤지펀드 매니저)

연봉이 높고 보너스가 많은 직업군이지만, 고급 정장, 명품 시계, 골프 접대, 고급 레스토랑 식사 등 업무상 네트워킹 비용이 많이 듭니다. 미국 월가 펀드매니저들은 고급 양복과 시계를 착용하며, 클라이언트와의 저녁 식사에만 연간 수천만 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의사 & 성형외과 전문의

병원 개원 비용, 의료 장비 투자, 직원 급여 등 고정 지출이 크며, 고객 신뢰를 위해 명품차, 고급 주택, 고급 클럽 멤버십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 강남의 유명 성형외과 원장은 "신뢰를 주기 위해 본인도 명품을 걸치고 좋은 차를 타야 한다"라고 인터뷰한 바 있습니다.

 

4) 사업가 & 스타트업 창업자

회사 운영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마케팅 비용이 필요하며, 투자자와의 미팅, 사업 확장을 위한 네트워킹 이벤트 등 회사를 대표하는 이미지 관리를 위해 소비가 많습니다. 한 스타트업 CEO는 "투자 유치를 위해 고급 호텔에서 미팅을 하거나 비싼 옷을 입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라고 설명합니다.

 

5) 프로 운동선수 & 스포츠 스타

경기 수입과 광고 모델료로 고소득을 올리지만, 전문 트레이너, 맞춤 영양식, 전용 헬스장, 사적인 보디가드 등 신체 관리 비용이 필수적입니다. 일부 유명 축구 선수들은 개인 비행기를 소유하며, 경기 외적인 사생활 관리에도 연간 수십억 원을 지출합니다.

2. 돈을 많이 벌어도 재정적으로 불안해지는 이유 - 소비패턴

고소득 직업을 가지고 있어도 지출이 많으면 결국 재정적 리스크가 찾아옵니다.

 

돈이 모이지 않는 이유

  • 고정 비용이 높아 저축이 어렵다
  • 사회적 지위 유지에 대한 압박이 크다
  • 라이프스타일 인플레이션 (Income Inflation) – 수입이 늘수록 지출도 함께 증가
  • 자산 관리에 대한 지식 부족

관련 연구:

MIT 경제학 연구에 따르면, 연봉 1억 원 이상을 버는 사람들의 40%가 재정적으로 불안정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3. 돈을 많이 벌면서도 부를 축적하는 사람들은 어떤 자산 관리를 할까요?

성공적인 부자들은 체계적인 저축과 투자 전략을 활용하여 장기적인 자산을 형성합니다.

돈을 많이 벌면서도 부를 축적하는 사람들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저축 포트폴리오

저축항목 저축 비율 (소득 대비) 목적
비상자금 (예금, MMF) 10% 긴급 상황 대비
장기 저축 (적금, 정기예금) 10% 안정적 자금 확보
연금 저축 (IRP, 퇴직연금, 연금보험) 10% 노후 대비
투자 자금 30~50% 자산 증식 (주식, 부동산, 펀드 등)
소비 & 생활비 30~50% 생활비, 여가, 취미

 

투자 포트폴리오

 

부를 축적하는 사람들은 주식, 부동산, 채권, 벤처 투자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분산하여 자산을 형성합니다.

투자 항목 투자 비율 특징 & 목적
주식(개별 주식 & ETF) 30~40% 배당주, 성장주, *인덱스펀드 중심
부동산 (상업용, 주거용, REITs) 30~40% 임대 수익 + 자본 이득
채권 (국채, 회사채, TIPS) 10~15% 안정적 이자 수익
벤처 투자 & 스타트업 투자 5~10% 고위험 고수익
대체 투자 (미술품, , 크립토 등) 5~10% 포트폴리오 다각화

 

*인덱스 펀드: 개별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S&P 500, 코스피 200, 나스닥 100 같은 주가지수를 추종하여 시장 평균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투자 상품

 

고소득자들은 보통 소득의 50% 이상을 저축 또는 투자에 활용하여 장기적인 부를 축적합니다. 소득의 일정 비율을 저축과 투자에 담고 수입이 증가해도 소비는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그리고 비즈니스와 개인의 소비를 명확히 분리합니다.

결론: 많이 벌어도 소비를 관리해야 진정한 부자가 된다

  • 고소득 직업군 중 일부는 소비 지출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다.
  • 돈을 많이 벌어도 소비를 잘못 관리하면 재정적으로 불안해질 수 있다.
  • 고소득자일수록 재정 관리가 필수적이며, 저축과 투자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당신은 많이 버는 만큼 돈을 제대로 관리하고 있나요?

지금부터라도 수입과 지출을 점검하고, 장기적인 부의 축적을 위한 전략을 세워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