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0

홀릭프리(HOLIC FREE)가 대학교에 찾아갔습니다. 알코올 고글 챌린지 (feat. 서대문보건소) 5월은 가족과 함께하는 가정의 달이자, 젊음과 열정이 가득한 대학 축제의 달이기도 합니다. 그중 연세대학교는 본격적인 축제를 앞두고, 학교 내 기독교 연합 동아리들이 주최하는 ‘화목제’를 2025년 5월 15일(목)에 교내에서 열었습니다. ‘화목제’는 단순한 동아리 홍보를 넘어, 신입 회원 모집과 재미있는 이벤트가 함께 어우러지는 소규모 축제의 장이었습니다.이 글에서는 특히 중독 예방 캠페인을 주요 취지 중 하나로 삼고 있는 본 블로그의 성격에 맞추어, 연세대학교 기독교 연합동아리 연기연 소속의 YTC 동아리가 준비한 ‘홀릭 클리닉(Holic Clinic)’ 부스 활동을 집중 조명해보려 합니다.YTC는 이번 화목제에서 서대문보건소의 협조를 받아, 음주 시 시야와 움직임이 왜곡되는 상황을 가상체험할 수 있.. 2025. 5. 19.
언인스타그래머블이 힙하다? 요즘 Z세대가 ‘날것’에 꽂힌 이유 이상적인 외모, 비현실적인 부의 과시, 프로패셔널 수준의 이미지나 영상 퀄리티에 SNS는에서 눈을 뗄 수 없었지만 어느 순간, 콘텐츠 속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자존감 하락, 자신감 상실 등을 느끼며 부작용을 낳기도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쏟아지는 콘텐츠의 홍수에 지친 사람들에게 아웃포커싱 이미지, 흔들린 사진, 어설픈 구도, 망한 셀카 등 꾸미지 않은 것을 넘어서 솔직한 ‘날 것’의 언인스타그래머블(Un-Instagrammable)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인스타그래머블에서 언인스타그래머블로 옮겨간 이유, 그것이 왜 힙한지, 이 트렌드가 소비 경제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언인스타그래머블의 등장초창기 SNS는 개인의 일상을 공유하며 서로 팔로잉을 하며 디지털 인간관계, 인.. 2025. 5. 17.
관식이 신드롬, 손해 보는 삶이 ‘다정함’의 추구미로 승화, 다정함이 스펙이 되는 시대, 자가진단 손해 보는 성격이 대세가 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착하다, 순하다, 배려심 있다는 말은 어딘가 손해 보는 성격으로 여겨졌었는데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박보검이 연기한 ‘한 사람만 바라보는 순정’을 가진 다정한 ‘관식이’는 고유명사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나아가서 이제는 ‘핵인싸력’의 필수 요소로 인식되고 ‘관식이 신드롬’으로 글로벌 감성을 자극해 밈으로도 퍼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시대를 거쳐오면서 AI까지 합세하며 비대면, 폰포비아 등 사람 간 대면하는 일이 줄어들자 MZ세대들은 ‘다정함’을 추구하며 관식이 같은 캐릭터에 매료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관식이 신드롬’을 통해 손해 보는 캐릭터가 어떻게 다정함의 추구미로 승화되는지,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원칙이 지켜져야 하는지, 나의 ‘.. 2025. 5. 13.
즉각적으로 인생을 바꾼 사람들의 3가지 공통점과 인생리셋에 성공한 사람들의 사례 ‘뭘 해도 안된다, 다 해봐도 안된다, 인생을 바꾸고 싶다면 당장 뭘 바꿔야 할까?’ 잠시 삶에서 이런 고민으로 멈춰 있다면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 의외로 가까이에 있습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거창한 스펙이나 대단한 자격증이 아니라, 외면의 작은 변화, 하루를 대하는 태도, 스스로를 바라보는 마인드셋이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성공 인물들은 바로 이런 ‘작은 변화’에서 출발했습니다.이 글에서는 당장 내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세 가지 핵심 포인트로 외적인 이미지, 태도, 그리고 빠른 마인드셋 전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인생의 흐름을 바꾼 실제 사례들을 함께 알아보려 합니다. 어쩌면 이미 들어본 이야기일 수 있지만, 누구나 미래가 막막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런 .. 2025. 5. 12.
청개구리 포인트로 경제적 성공을 이룬 사람들의 개인적인 경험, 청개구리 전략, 실전 사례 “내가 죽으면 꼭 강가에 묻어 다오.”늘 엄마 말과 거꾸로 하던 청개구리는 마지막 유언만큼은 꼭 지키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그 선택은 오히려 엄마의 강가 무덤을 위태롭게 했고, 청개구리는 비만 오면 슬프게 울었다고 합니다. 한국 전래동화 속 청개구리는 일반적으로 반항, 후회, 불순종의 상징입니다. 그런데 만약 ‘청개구리 정신’으로 인생의 판을 바꾼 인물들이 있다면? 기존의 틀을 깨고, 반대로 생각하며, 다르게 행동했던 ‘청개구리 포인트’로 고정관념을 거스르고 자신만의 길을 개척했고, 결국 ‘성공의 아이콘’이 된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개구리 포인트를 통해 경제적 성공을 거둔 글로벌 인물들의 개인적 전환 경험, 그리고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청개구리 전략'과, 실전 사례에 대해 구.. 2025. 5. 7.
복(福)·행운(幸運)·은혜(恩惠)의 차이는? 3가지를 다 누리고 사는 인물들과 삶의 태도 ‘복스럽게 생겼네’, ‘그 사람 진짜 운이 좋았네’, ‘은혜로 살았지, 평생 잊으면 안 돼’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말입니다. 이 세 가지 다 좋은 것인 것은 알지만 정확하게 차이를 설명해보라고 한다면 머뭇거리게 됩니다. 복, 행운, 은혜는 각각 단어가 가진 뜻은 차이가 있지만 이 세 가지가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칠 때 나타나는 삶의 태도는 공통된 점이 많습니다. 복 받아서 삶의 풍성함을 경험하거나 뜻밖의 행운으로 삶의 전환점을 맞이하거나 누군가의 은혜 덕분에 힘든 삶을 잘 견뎌냈다는 얘기는 우리 이웃 사람들에게서도 자주 들려오는 이야기입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그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삶의 태도가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복’, ‘행운’, ‘은혜’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 세 가지 모두를 누리며.. 2025. 5. 3.